클래식 곡의 명칭을 이해하는 방법
본문
클래식 연주회 팜플랫을 한번 보신적이 있나요?
각종 영어에 약식 기호에.. 왜 그렇게 어렵게들 적어 놓았을까요?
아는만큼 보인다! 그래서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래 나오는 내용만 익혀도 왠만한 팜플렛은 웃으며 보실수 있을겁니다^^!
<클래식 곡의 명칭을 이해하는 방법>
**오퍼스(Opus, Op.), 넘버(No)
그 작곡가의 모든 작품의 수를 기준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붙인 작품번호.
예를들어 피아노 협주곡이 첫번째로 작곡한 곡이라면 op.1이붙고, 두번째는 교향곡을 작곡했다면 교향곡에는 op.2가 붙는다, 그후 다시 피아노 협주곡을 작성하면 op.3이 다시 붙게 되는 그러한 형식이다.
No.가 붙는 경우도 있다. 이는 오퍼스 뒤에 간혹 op.9-1, op.9-2처럼 뒤에 –가 붙는 경우로 올 수 도있고, "op.1 no2" 처럼 직접 No.를 써서 나타내거나, "제 2번" 처럼 한글로 표현하기도 한다.. 예를들어 "op.9 no.1"에서 넘버의 뜻은, 9번째로 작곡한 곡 중에 첫번째 라는 곡이라는 의미다. 예를들어 쇼팽의 op9-1은 쇼팽이 9번째로 작곡한 곡인 '녹턴'인데, 녹턴 중에서 첫번째로 쓰여진 곡이라는 뜻이다. 녹턴1번, op9-2는 녹턴 2번 이라는 뜻이다.
**BWV
바흐의 작품번호를 매길 때 쓰는 단어. BWV를 쓴다. 이처럼 작품번호를 매길 때 그 사람의 이름을 상징해 매기거나 그런 번호를 부여한 사람이 만든 단어를 붙여 부르는 경우도 있는데, 바흐는 BWV, 모차르트는 K, 하이든은 Hod, 비발디는 RV 등등으로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런데 이런 작품번호는 그 기준이 조금씩 다 다르기 때문에 Op의 번호와는 다른 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비발디의 사계 중 여름 작품을 원문으로 검색해서 제목을 보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Concerto No.2 in G Minor, Op.8, No.2, RV 315"
제일 앞에는 이 곡의 형식에 대해 나오는데, 교향곡인지, 미뉴에트인지, 소나타형식인지 등등 간단하게 설명을 해준다. 즉, 여기서 곡은 협주곡(Concerto)이고, 8번째로 제작된 작품이며(op.8) 8번째 작품중 2번째로 들어간 작품(No2)이고 조성은 G 단조이다. 다른 기준인 비발디식 작품 번호부여 순서로는 315번째 번호로 매겨진 작품(RV315)이란 뜻이다.
클래식 곡 명칭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용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작품번호>
모차르트: K. KV. Kv.
베토벤: WoO.
슈베르트: D.
바흐: BWV.
비발디: RV
하이든: Hob
헨델: HWV
파가나니: MS
베틀리오즈: H
리스트: S
브루크너: WAB
드보르작: B
드비쉬: L
<빠르기 용어>
Grave: (그라베) 매우느리게
Largo: (라르고) 아주느리게
Larghetto: (라르게토) 라르고보다 조금빠르게
Lento: (렌토) 아주느리게
Adagio: (아다지오) 매우느리고 평온하게
Adagietto: (아다지에토) 아다지오보다 조금빠르게
Andante:(안단테) 느리게
Andantino:(안단티노) 조금느리게
Moderato:(모데라토) 보통빠르게
Allegretto:(알레그레토) 조금빠르게
Allegro moderato:(알레그로 모데라토) 중간쯤의 빠르기로
Allegro(알레그로): 빠르게
Vivace(비바체): 아주빠르게
Presto(프레스토): 매우빠르게
Vivacissimo(비바치시모): Vivace보다 빠르게
Prestissime(프레스티시모):Presto보다 빠르게
<연주자 악기 및 역할 기호>
Vn: 바이올린
Va: 비올라
Vc: 첼로(violoncello)
Pf: 피아노
Pe: 타악기
Cb: 콘트라베이스(독일식은Kb)
CI: 클라리넷
Co: 지휘
Tb: 트럼본
Tp: 트럼펫
Tu: 튜바
Ty: 팀파니
Bn: 바순
Hn: 호른
Ob: 오보에
FI: 플룻
MD: 지휘자
CM: 악장
<기타 용어>
et: 그리고, 및
mov: movement의 약자. 악장을 의미. (ex 3rd mov: 3악장)
Rondo: 론도 형식
brass: 황동, 놋쇠라는 단어로, , 클래식에서는 금관악기를 뜻한다
instant : 짧은, 즉석의
alla: '~풍으로' 라는 뜻. (ex <alla marcia>는 행진곡풍으로, <alla polacca>는 폴란드풍으로, <alla tedesca>는 독일풍으로, <alla turca>는 터키풍으로, <alla zingara>는 집시풍으로, <alla spagnola>는 스페인풍으로 )
Major: 장조
Minor: 단조
Flat: 내림(b)
Sharp: 올림(#)
여기까지 곡을 읽는 방법을 알아보았고, 이제 실전에서 직접 해석 해보자.
<실제 작품 해석 예시>
1. Sonata in B flat major, k.292 for Basson and Cello
->Mozart의 바순과 첼로를 위한 소나타 Bb장조. 작품번호(k) 292번.
2. A.tansman suite for bassoon
->Tansman이라는 작곡가의 바순을 위한 모음곡(suite)이란 뜻
3.C.M.v Weber Ungarische Fantasie Op.35
->Weber의 헝가리 판타지. 작품번호 35이란 뜻
4. Concerto for Tow Clarinets in E flat Major op91 3rd mov - Alla polacca
-F. Krommer
->F. Krommer가 작곡한 두 클라리넷을 위한 협주곡. 내림마장조이며 작품번호 91번의 3악장. 폴란드 풍으로(alla polacca)
5. Andante et Rondo op.25 for two flute and piano
-F. Doppler
->F. Doppler(도플러, 유명 플룻티스트)가 작곡한 곡으로 느리게 및 론도형식. 작품번호 25번이며 두개의 플룻과 피아노로 연주.
6.Intant Concerto brass Quintet
->즉석의(?) 짧은 협주곡. 금관악기 5중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